top of page

[논문 읽기] 행동과 목적 그리고 목적론

  • 작성자 사진: 신범 김
    신범 김
  • 5월 20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6월 4일

Rosenblueth, A., Wiener, N., & Bigelow, J. (1943). Behavior, Purpose and Teleology. Philosophy of Science, 10(1), 18–24.


1943년에 발표된 논문을 접하는 건 흔치 않다. 발암물질과 직업성 환경성 암에 대해 공부할 때 1900년대 초반 논문을 접하고 오랜만이다. 출발은 시스템이었다. 백도명 교수님의 <위험 시스템>에 대한 원고를 읽다가 시스템의 피드백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지 몰라 자료를 찾기 시작했고, 이 논문을 발견했다.


논문의 주요 내용 요약


행동주의적 접근(behavioristic approach)에서는 어떤 객체의 내재적인 조직이나 구조가 아니라, 객체와 환경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객체를 통해 만들어진 output이 input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Output은 객체에 의해서 주변 환경에 발생된 모든 변화이고, input은 외부에서 발생되어 어떤 방식으로든 객체를 변형시키는(modify the object) 모든 사건을 의미한다. 행동주의적 접근의 반대는 기능적 접근(functional approach)라고 할 수 있으며, 대상 객체의 내재적 조직과 그 구조 및 속성에 주된 관심사이고, 객체와 환경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부수적으로 취급된다.


이때 행동(behavior)이란 주변 환경과 관련하여 어떤 존재(entity)에게 발생되는 모든 변화를 뜻한다. 주로는 객체의 output이며, 부분적으로는 input도 행동이 될 수는 있다. 즉, 외부에서 감지할 수 있는 객체와 관련된 모든 변경이 행동인 것이다. 그래서 행동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분류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는 행동의 분류에 도움을 주는 개념이다.


  • 능동적 행동 (Active behavior): 주어진 특정 반응에서 객체 자체가 관련된 출력 에너지의 원천인 경우. 객체는 원격 또는 비교적 즉각적인 입력에 의해 공급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지만, 이 입력이 출력을 직접적으로 활성화하지는 않는다.

  • 수동적 행동 (Passive behavior): 객체가 에너지의 원천이 아닌 경우. 출력에 포함된 모든 에너지는 즉각적인 입력에서 비롯되거나 (예: 물체를 던지는 것), 객체가 반응 과정 내내 외부에 머무는 에너지를 제어하는 경우이다 (예: 새의 활강 비행).


능동적 행동은 또 다시 둘로 나눠질 수 있다. 하나는 목적이 있는 행동이고 또 하나는 목적이 없는 행동이다. 목적이 있다는 것은 목표의 달성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목적이 있는 행동은 또 다시 피드백이 있는 행동과 피드백이 없는 행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 피드백 행동 (Feed-back or teleological behavior) : 행동의 결과(출력 에너지의 일부)가 입력으로 되돌아와 행동을 수정하고 제어하는 경우. 특정 목표와 관련하여 행동하는 객체의 상태와 목표 간의 차이에 의해 행동이 제어된다.

  • 비-피드백 행동 (Non-feed-back or non-teleological behavior): 행동이 피드백 루프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지 않는 경우


그리고 피드백 행동에서 피드백은 음성적 피드백과 양성적 피드백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 목적달성을 지향하는 행동은 오차를 수정하고 목표와의 차이를 줄이는 음성 피드백에 의해 제어되는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을 넓은 의미로 볼 때 output energy의 일부가 input으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피드백이 있는 능동적 행동은 예측(prediction) 또는 외삽(extrapolation) 능력 유모에 따라서도 두 개로 구분된다.


  • 예측적 행동 (Predictive or extrapolative behavior): 행동이 즉각적인 입력뿐만 아니라 미래 상태를 예측하거나 외삽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움직이는 목표물을 추적하는 고양이의 행동이나 목표물을 향해 돌을 던지는 행위가 이에 해당

  • 비-예측적 행동 (Non-predictive or non-extrapolative behavior) : 예측이나 외삽 능력이 없는 행동으로, 주로 즉각적인 입력에 대한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아메바의 주화성(tropism) 같은 행동이 예시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간략히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행위의 분류
행위의 분류


생각할 주제


세상을 목적론적으로 바라보자는 것이 저자의 주장은 아니다. 사람과 동물과 같은 유기체들과 기계와 같은 사물들을 목표를 가진 행위를 수행하는 존재로 바라볼 수 있고, 이 때 목표와 실제 결과의 차이를 교정하는 네거티브 피드백이 작동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말하려는 게 저자의 의도이고 상당부분 동의된다.


결국 시스템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느냐가 중요하고, 이 목적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변화될 수 있는 것이며, 피드백이란 목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목적의 실현을 위해 시스템을 정비해 나가게 만드는 에너지라는 것이다.


그런데 문득 드는 생각. 제어되지 않는 네거티브 피드백은 오히려 시스템의 오류를 발생시킨다고 하는데, 제어는 누가 하는 것일까? 인간은 감각별 조절 중추가 작동한다면, 사회시스템에서는 무엇이 조절 중추일까? 여기에서 다시 민주주의를 이야기해도 좋을까?


저자의 주장은 매우 단순하지만, 이러한 관점이 이후 시스템 이론으로 이어지고, 행위자관계망이론으로도 나아가고, 어셈블리지 같은 이야기로도 이어지는 것이 아닐까?

Commentaires


​화학안전정책연구

환영합니다. 여기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김신범 부소장이 수행하는 각종 연구를 위한 소통 플랫폼입니다. 

bottom of page